Post

1449 수리공 항승 - 실버3

문제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449

정답 참고 : https://hae-sooo97.tistory.com/59

1. 문제

항승이는 품질이 심각하게 나쁜 수도 파이프 회사의 수리공이다. 항승이는 세준 지하철 공사에서 물이 샌다는 소식을 듣고 수리를 하러 갔다.

파이프에서 물이 새는 곳은 신기하게도 가장 왼쪽에서 정수만큼 떨어진 거리만 물이 샌다.

항승이는 길이가 L인 테이프를 무한개 가지고 있다.

항승이는 테이프를 이용해서 물을 막으려고 한다. 항승이는 항상 물을 막을 때, 적어도 그 위치의 좌우 0.5만큼 간격을 줘야 물이 다시는 안 샌다고 생각한다.

물이 새는 곳의 위치와, 항승이가 가지고 있는 테이프의 길이 L이 주어졌을 때, 항승이가 필요한 테이프의 최소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테이프를 자를 수 없고, 테이프를 겹쳐서 붙이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 첫째 줄에 물이 새는 곳의 개수 N과 테이프의 길이 L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물이 새는 곳의 위치가 주어진다. N과 L은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물이 새는 곳의 위치는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항승이가 필요한 테이프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1

1
2
3
4
4 2
1 2 100 101

=> 2

예제2

1
2
3
4
4 3
1 2 3 4

=> 2

예제3

1
2
3
4
3 1
3 2 1

=> 3

2. 정답 소스코드

  • Pytho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import sys

n, l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arr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arr.sort()
start = arr[0]
cnt = 1

for i in arr[1:] :
    if (i+0.5) - (start-0.5) <= l :
        continue
    else :
        start = i
        cnt += 1

print(cnt)

3. 풀이 방법

예) 테이프 길이 = 2, arr = [1,2,3] => 답:2

  • 1이란 한 지점에 테이프를 붙여야 한다면, 실제 테이프를 붙여야하는 구간은 0.5 ~ 1.5 가 되어, 총 길이는 1이다
  • 만약, 1~2 구간에 붙이려 한다면, 실제 테이프를 붙여야하는 구간은 0.5 ~ 2.5 사이가 되어, 총 길이는 2이다
  • 테이프는 겹쳐서 붙여도 되므로, 아래와 같은 흐름이 가능하다
    • 먼저 1~2구간 사이를 테이프로 붙이려 하면, 0.5(1-0.5) ~ 2.5(2+0.5) 구간이 메꾸어지고, 해당 구간은 길이는 테이프길이와 같은 2이다.
    • 그러나, [1,2,3] 중 [3]이 메꾸어진것은 아직 아니다.
    • [3]까지 메꾸기 위해서는, 테이프 구간을 1.5(2-0.5) ~ 3.5(3+0.5) 구간으로 잡아서, 테이프를 덧붙인다.
    • 총 테이플 사용한 횟수는 2번이 된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