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Network 퀴즈

네트워크 퀴즈

출처: https://csbroker.io/problem?page=1 (카테고리 : 네트워크)

1. TLS(Transport Layer Security)

  • 웹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해서 등장하였고 SSL에서 발전된 형태
  • TLS는 데이터의 무결성, 인증 암호화를 위한 프로토콜
  • 비대칭키와 대칭키 기법을 혼용해서 사용

2. GSLB(Global Sever Load Balancing)

  • 구글이나 네이버 같은 전 세계에서 사용하는 플랫폼은 전 세계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서버를 곳곳에 설치 (즉, DNS에 매핑되는 IP가 여러개일 수도 있음)
  • 이 때, GSLB는 IP에 Health Check를 해서 장애가 발생한 서버를 걸러주기도 하고, 거리와 RTT를 계산하여 더 빠른 서버의 IP를 리턴해주도록 함

3. DNS

  •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
  • Local DNS는 캐싱용도로 사용
  • 도메인 이름의 맨 마지막에는 .(dot)이 숨어있으며 이를 Root 도메인이라 부름
  • 전 세계의 DNS는 트리 구조로 되어 있음 

4. DNS Query 동작 과정 

  • ex) example.io를 방문한다고 가정했을 때
    • 1) 먼저 Local DNS를 확인
    • 2) 처음 방문시에 기록이 없을것이므로, Root DNS에 요청해 “.io”를 관리하는 Top Level DNS 위치를 받음
    • 3) Top Level DNS에게 example.io를 관리하는 DNS의 위치를 받아옴
    • 4) 원래라면 이 DNS에서 IP를 주겠지만 GSLB가 여러 IP의 Health Check, 거리비교, RTT 비교를 한 뒤 최적의 IP를 반환
    • 5) 마지막으로 Local DNS에 example.io의 IP를 저장 후, IP를 반환

5. 세션(Session)

  • HTTP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state를 웹서버에 저장하지 않는 stateless 프로토콜
  • 하지만, 웹 서버가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나 쇼핑 카트, 게임진행상태 등 사용자의 state를 저장하고 싶을 때가 있음.
  • 이 때, 사용자의 컴퓨터에 작은 기록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해당 웹 서버에 접속할 때마다 그 정보를 보내어 웹 서버가 사용자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록 정보를 Session이라 부름

6. TCP와 UDP특징

  • TCP는 연결 지향 방식
  • TCP는 전이중(full-duplex), 점대점(point-to-point) 방식
  • UDP는 N:M으로 연결될 수 있음

7. UDP 특징

  •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
  • 단순한 헤더 구조로 오버헤드가 적음
  • TCP와 같이 Transport 계층에 존재

8. IP 프로토콜 필드

  • Header Length는 IP의 헤더 길이를 32비트 워드 단위로 표시
  • Packet Length는 IP의 헤더 길이를 제외한 패킷 전체의 길이를 2^16-1 크기로 나타냄.
  • Time To Live는 송신 호스트가 패킷을 전송하기 전 네트워크에서 생존할 수 있는 시간을 지정한 것
  • Version Number는 IP의 프로토콜의 버전 번호를 나타냄

9. 네트워크 주소 변환(Network Address Translation)

  • 하나의 Public IP 뒤로 여러 개의 Private IP 공간을 은닉하는 기술
  • Public IP 주소를 절약하고, 보안을 위해 사용

10. 대칭키와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

  • SHA는 단방향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복호화가 불가능
  • 대칭키 방식은 비교적 속도가 빠르지만, 키교환 문제가 발생
  • 비대칭키는 신원 확인, 전자 서명 등에 활용

11. AJAX

  • 브라우저가 가지고있는 XMLHttpRequest 객체를 이용해서 전체 페이지를 새로 고치지 않고도 페이지의 일부분만을 위한 데이터를 로드하는 기법
  • 하이퍼 텍스트 표기 언어(HTML)만으로 다양한 작업을 웹 페이지에서 구현해 이용자가 웹페이지와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하는 기술

12. HTTP 메소드 멱등성

  • 동일한 요청을 한 번 보내는 것과 여러번 연속으로 보내는 것이 같은 효과를 지니고, 서버의 상태도 동일하게 남을 때, HTTP 메소드가 멱등성을 가졌다고 말한다.
  • 대표적으로 GET 메소드는 멱등성을 가지고, POST 메소드는 멱등성을 가지지 않음.

13.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 서브네팅은 할당된 네트워크 주소를 다시 여러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어 사용하는것을 말함
  • 4바이트의 IP주소 중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한 비트를 서브넷마스크라고 하며, 이를 변경하며 네트워크 주소를 여러 개로 분할하여 사용

14. IPv6

  • 멀티미디어의 실시간 처리가 가능
  • IPv4보다 보안성이 강화
  • 자동으로 네트워크 환경구성이 가능

15. OSI 7 Layer

  • 어플리케이션 계층 (Application Layer)
    • 최종 목적지.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해서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 수행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자우편, 데이터베이스 관리 등의 서비스 제공
    • (ex : HTTP, FTP, DNS)
  • 프레젠테이션 계층 (Presentaion Layer)
    • 데이터 표현에 대한 독립성을 제공하고 암호화
    • 파일 인코딩, 명령어를 포장하고 압축하고 암호화
    • (ex : JPEG, MPEG)
  • 세션 계층 (Session Layer)
    • 데이터가 통신하기 위한 논리적 연결 담당
    • 통신하는 동안 송신, 수신측이 연결이 유지되도록 도와준다
    • TCP/IP 세션의 생성/삭제를 담당
    • (ex : Socket, API)
  •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TCP와 UDP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을 활성화
    • PORT를 열고, 프로그램들의 전송을 도움
    • (ex : TCP - 신뢰성, 연결지향적, UDP - 비신뢰성, 비연결성, 실시간)
  •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
    • 라우터를 통해 이동할 경로를 선택해 IP주소를 지정하고, 경로따라 패킷 전달
    • (ex : 라우터, IP)
  • 데이터링크 계층 (DataLink Layer)
    • 물리 계층으로 송수신되는 정보를 관리하여 안전하게 전달하도록 도움
    • MAC 주소를 통해 통신
    • (ex : 스위치, 브릿지)
  •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주고받는 기능을 진행
    • (ex : 리피터, 케이블, 허브)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