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화식과 재귀함수
1. 점화식
- 어떤 수열의 일반항을 그 이전의 항들을 이용하여 정의한 식
- 예시) 피보나치 수열
- 1,1,2,3,5,8,13,…
- F1=F2=1, F(n+2) = F(n+1) + F(n)
2. 재귀함수
어떤 함수가 자신을 다시 호출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
1 2 3 4 5
반환타입 함수이름 (매개변수) { 종료조건 … 함수이름( ) }
(실습 : 점화식 및 재귀함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기초 수학 - 점화식과 재귀함수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recursion1 (int n) {
if (n == 1) {
return 1;
}
return 3 * recursion1(n - 1);
}
static int recursion2 (int n) {
if (n == 1) {
return 1;
}
return n * recursion2(n - 1);
}
static int recursion3 (int n) {
if (n <= 2) {
return 1;
}
return recursion3(n-1) + recursion3(n-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점화식 -> 반복문, 재귀함수
System.out.println("== 점화식/재귀함수 연습1 ==");
// 1, 3, 9, 27, ... 의 n번째 수
int n = 4;
int result = 1;
for (int i = 0; i < n; i++) {
if (i == 0) {
result = 1;
} else {
result *= 3;
}
}
System.out.println(result);
System.out.println("== 점화식/재귀함수 연습2 ==");
// 1, 2, 3, 4, 5, 6, ... 의 n번째 까지의 합
n = 5;
result = 0;
for (int i = 1; i < n + 1; i++) {
result += i;
}
System.out.println(result);
System.out.println("== 점화식/재귀함수 연습3 ==");
// 1, 1, 2, 3, 5, 8, 13, ...의 n번 째 수
n = 6;
result = recursion3(n);
System.out.println(result);
}
}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