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2. DI, IoC (1)

1. 스프링을 쓰면 좋은 점

  • 스프링이라는 넓은 판때기(컨테이너) 위에 내가 만드는 클래스만 얹으면 개발이 되므로 편하다
  • 스프링 Bean이라는 규격에 맞춰 만들기만 하면 서로가 서로를 가져다 쓰기가 좋다
  • 역설적으로 너무 자유롭진 않아서 원리를 알면 그 안에서는 만들기가 편리하다

2. DI (Dependency Injection)

  • 의존성 주입
    • 의존성(A가 B를 사용한다, A가 B에 의존한다)
    • 결제서비스가 머니어댑터와 편의점 할인을 사용한다
      • 결제서비스라는 블럭에 머니어댑터, 편의점할인을 끼움
    • 사실 심플 스프링을 만들면서 해본 것이 바로 의존성을 외부에서 주입해주는 것임

Untitled

3. IoC(Inversion Of Control)

  • 제어의 역전
    • 사용자가 직접 클래스를 생성(new Class()) 하지 않고 프레임워크(스프링)이 제어하도록 함
    • 하지만 그래도 생성 전과 후에 뭔가 하고 싶은게 있으면?
      • Bean LifeCycle callback(Bean 생명주기 콜백함수)
        • CallBack함수란?
          • Call(호출) Back(나중에) 하는 함수
          • 우리가 여기에 뭔가 담아주면 나중에(정의된 시점에) 호출해준다.

Untitled 1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