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M
1. ORM 개념 이해하기 데이터 영속성 Persistence : 프로그램이 종료되었다고 해서 자료가 사라지진 않음 종류 SQL Mapper SQL을 개발자가 직접 작성 매핑 : 쿼리 수행 결과 ↔ 객체 DB 종류 변경...
1. ORM 개념 이해하기 데이터 영속성 Persistence : 프로그램이 종료되었다고 해서 자료가 사라지진 않음 종류 SQL Mapper SQL을 개발자가 직접 작성 매핑 : 쿼리 수행 결과 ↔ 객체 DB 종류 변경...
1. 관계 2.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niform은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 Resource란, URI로 식별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자원(웹 브라우저 파일 및 그 이외의 리소스 포함)을 지칭. Identifier는 다른 항목과 구분하기 위해 필...
1. 개요 SQL의 View 처럼 Spark에서도 View를 지원한다. Spark 2.1.0 부터는 Global Temporary View 지원한다. 2. Temp View Spark의 Temporary View는 Session-Scope이다. 즉, SparkSession이 닫히기 전까지 살아있는 View이다. df = s...
1. Spark submit의 기본 argument master : 접속할 Cluster Manager를 지정 deploy-mode “ Driver가 지역적으로 실행될지(“client”), Cluster의 작업 머신들 중에서 실행될지(“cluster”) 결정 client 모드에서는 spark...
1. 다양한 빈 관련 설정 방법 1) 빈의 구현체가 여러개인 경우 주입 받는 방법 @Primary : 해당 빈을 최우선으로 주입 @Qualifier(”beanName”) : beanName으로 지정된 빈을 주입 Set 또는 List로 모두 받기 프로퍼티 이름을 빈과 동일하게 하기 :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방법 2) 빈의 스코프(...
1. XML을 통한 빈 등록 토비의 스프링, 스프링3/4 시절까지 많이 사용 설정이 외부로 명확히 분리된 것을 알 수 있음 하지만 자동완성이나 컴파일 등으로 오타를 잡기 어렵고 타이핑 양이 많아짐 <?xml version="1.0" encoding="UTF-8"?> <beans xmlns="http://www.sp...
1. 스프링을 쓰면 좋은 점 스프링이라는 넓은 판때기(컨테이너) 위에 내가 만드는 클래스만 얹으면 개발이 되므로 편하다 스프링 Bean이라는 규격에 맞춰 만들기만 하면 서로가 서로를 가져다 쓰기가 좋다 역설적으로 너무 자유롭진 않아서 원리를 알면 그 안에서는 만들기가 편리하다 2. DI (Dependency Injection) ...
1. Spring 코드 예제 package org.example.bootstrap;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SpringBootApplication; @SpringBootApplication publ...
1. Stateless Stateless란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저장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장점 : 서버의 확장성이 높다 서버에 상태를 저장하지 않으므로 서버 확장이 용이하다. 단점 :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추가 전송해야 한다. 예1) 사이트에 로그인을...
1. 함수 DBMS에서 제공되는 공통적 함수 이외에 사용자가 직접 정의하고 작성 SQL을 활용하여 일련의 로직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단일 값으로 반환할 수 있는 모듈 -- passwords를 입력하면 해당 결과를 '*****'로 반환 delimiter $$ create function sf_password (passwords va...